매년 가을이 되면 교원평가를 합니다. 원래의 명칭은 ‘교원능력개발평가’로 교원능력 신장 및 학생과 학부모의 공교육 만족도 향상, 그리고 공정한 평가를 통한 교원의 지도능력 및 전문성 강화를 통한 학교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제도입니다. 목적이 이러다 보니 교원을 평가하는 주체는 학생, 학부모, 그리고 동료로 나뉩니다. 동료교사는 물론 교육의 소비자인 학생과 학부모도 해당 교원에 대한 만족도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평가를 하는 당초의 목적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닙니다. 교원의 능력을 신장시키고, 무너졌다고 푸념하는 공교육에 대해 소비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라는 원칙에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또 하나 중요한 목적인 ‘공정한 평가’의 관점에서 들여다 보면 적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음을 토로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평가 주체의 한 축인 학부모 중에는 일 년 내내 단 한차례도 학교를 방문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해당 선생님을 볼 기회가 없는 것이죠. 당연히 수업에 참관하지도 않습니다. 그럼에도 만족도를 평가합니다. 평가란 무엇보다 충분한 관찰이 전제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관찰 후에는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 따라 그 기준의 부합 여부로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하지만 관찰도 하지 않고, 기준도 없이 평가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자녀인 학생이 전하는 몇몇의 언급에 따라 임의로 평가를 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다면적인 관점에서 평가를 한다는 당초의 취지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관점만 두 번 오버랩되어 반영되는 불합리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평가 대상인 선생님을 전혀 알지 못하면서 학생의 관점으로만 평가한다는 불합리는 학생들이 가진 아직은 성숙되지 않은 사리분별 때문에 그 오류가 커집니다.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많은 학생들은 자신이 잘못을 했어도 아무런 얘기를 하지 않는 선생님을 좋아합니다. 가정에서 꾸중을 듣고 자라난 세대가 아닌 만큼 지도를 위한 훈계를 불필요한 잔소리로 여깁니다. 학교생활이란 미래 성숙한 사회인이 되기 위한 배우는 과정으로서 이 과정에서 잘못은 훈육으로 정정한다는 학교 본래의 기능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누군가 자신의 잘못을 훈계할라치면 좋지 않은 감정을 드러냅니다. 왜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은데 그러냐는 투로 항의하고 심지어 대들기까지 합니다. 미래 성숙함을 위한 교육 과정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순간적인 감정을 발산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선생님의 긍정적인 의도는 묵살하고 자신에게 나쁜 선생님으로 평가해 버립니다. 어른도 미래의 커다란 보상보다는 눈앞의 작은 만족을 더 좋아하는데 하물며 성장기 학생들은 이런 경향이 더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좋은 뜻이라도 자신들의 태도와 행동에 대해 얘기를 하면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그 얘기를 한 사람마저도 부정적으로 낙인을 찍는 것이죠.
그럼에도 이러한 성향이 인생에서 최고조인 학생들에게 선생님을 평가하게 합니다. 그것도 자신의 평가는 물론 부모의 평가에까지 이중으로 말이죠. 교육의 수혜자로 소비자로 학부모와 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하자는 취지는 좋습니다. 하지만 평가 주체의 성숙함과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충분한 관찰이 전제가 되지 않은 평가는 당초의 목적과는 거리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심지어 이런 학생도 있다면 믿을까요? ‘저에게 자꾸 잔소리를 하면 평가에서 1점을 줍니다.’라거나 ‘이번에 선생님 평가에서 1점을 주었어요.’라고 비웃으며 지나가는 학생들 말이죠. 목적도 좋지만 운영이 합목적적이 아닐 땐 당초의 목적대로 운영되도록 더 검토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